Slothong Slothong

Angular

8/3/2025

Angular에서 유연한 컴포넌트 구현하기

UI 컴포넌트를 작성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 중 하나는 컴포넌트의 유연성이다. 특히 디자인 시스템이나 여러 곳에서 공유되는 코어 UI 라이브러리의 컴포넌트를 작성해야 한다면 해당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use case에 대해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버튼 컴포넌트를 작성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버튼 안에는 text가 들어가야 한다. 따라서
6/20/2025

Angular의 DI는 어떻게 동작할까?

앵귤러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구문을 써서 서비스 객체를 가져와 사용한 적이 있을 것이다. ```ts @Component({ selector: "app-my-component", templateUrl: "./my.html" }) class MyComponent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myService: MyServic
6/12/2025

Angular로 정적 사이트 블로그 배포하기

"프론트엔드 = 리액트"가 통용되는 지금 이 시대에 앵귤러를 쓰는 회사에 입사해버렸다. 리액트에 익숙해져 있던 나에게는 앵귤러의 사용법이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았지만 이왕 쓰게 된 거 깊이 있게 공부해보기로 했다. 이 참에 나의 오랜 염원이었던 개인 블로그 만들기도 실행에 옮겼다. ## Angular SSR 블로그가 검색엔진에 노출되기 위해서는 SS